RNS 데이터 기반으로 발작 억제 효과 확인

[더강원 랜드 바카라 성재준 기자]SK바이오팜은미국 자회사인 SK라이프사이언스(SK Life Science)가 지난 5일부터 오는 9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제77회 미국신경과학회(AAN) 연례학술대회에서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 XCOPRI)'의 주요 임상 및 실사용 데이터(Real World Data, RWD)를 발표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연구는 국소 발작을 가진 18세 이상 성인 37명을 대상으로 한 미국 내 다기관 후향적 관찰 연구다. 세노바메이트 50㎎/일 이상을 최소 2주간 부가 요법으로 복용한 환자의 반응성 신경 자극(RNS)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치료 기간(12주) 동안 뇌전증파 발생 빈도가 베이스라인(평균 15.7회/28일) 대비 최종 관찰 시점에서 평균 2.5회/29일로 약 84% 감소하며, 1차 평가지표를 충족했다.
가장 흔한 이상반응은 어지러움과 졸림이었다. 이는 세노바메이트의 용량을 점진적으로 조절하거나 병용하는 항경련제의 용량을 감량함으로써 개선됐다.
루이스 페라리 SK라이프사이언스 의료 부문 부사장은 "완전 발작소실은 여전히 많은 환자에게 중요한 치료 목표지만 달성은 쉽지 않다"며 "이번 연구는 RNS 데이터를 활용해 세노바메이트 및 기타 항경련제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한 의미 있는 결과로, 뇌전증 치료의 새로운 기준을 정립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SK라이프사이언스는 이번 학회에서 세노바메이트의 치료 효과와 안전성, 치료적 잠재력을 분석한 6건의 연구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